본문 바로가기
미술/현대미술

중국 현대 미술에 대해, 중국 현대 미술의 가치와 현대 미술의 상징적 작가 3인방소개 및 작품안내

by 갖고싶은예술 2023. 7. 30.

목차

    반응형

    중국 현대미술은 짧은 역사에도 불구, 국제적으로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 기획전도 자주 열리고 미술시장에서 인기도 많습니다. 자본주의와 결합한 중국식 사회주의 환경과 작품들의 독특성이 한 몫합니다. 중국 현대 미술에 대해, 중국 현대 미술의 가치와 현대미술의 중요한 축인 미술운동, 그룹의 상징적 작가들 주진스(朱金石·66), 쑹둥(宋冬·54), 류웨이(48)에 대해서 소개하고 작품들을 보여드리겠습니다~

    중국 현대 미술에 대해

    중국 현대미술은 문화예술 암흑기인 문화대혁명(1966~76)이후 개혁개방과 더불어 시작됐다. 작가들이 사회주의적 리얼리즘에 반기를 들고 창작의 자유를 외치며 그 문을 열었다. 처음으로 아방가르드 정신을 구현한 미술인 모임 ‘싱싱화회’(星星畵會)가 대표적이다. 주진스는 싱싱화회의 핵심 작가다. 한때 퍼포먼스와 전통 선지 등을 활용한 설치에 주력한 그는 2000년대 들어 엄청난 양의 물감을 화면에 올리는 실험적 추상화 작업으로 유명하다. 1985년 전후 작가들은 제도적 통제 속에서도 갖가지 노력을 통해 예술의 다양한 가능성 등을 시도한다. 미술단체 만도 100여개에 이를 정도로 미술을 포함, 문예 전반에 활기가 돌았다. 이른바 ‘85신사조(미술)운동’이다. 그러나 민주화 요구가 유혈 진압된 1989년 ‘톈안먼(天安門) 사태’를 계기로 정부의 통제는 강화되고 문화예술은 전반적으로 크게 위축된다. 작가들은 정치적 한계의 절감 속에 빈부격차·물질만능주의 등 자본주의화의 폐해, 급격한 산업화·도시화에 따른 사회적 혼란도 경험한다. 이 혼란과 불안을 저항적인 냉소·조롱·풍자로 표현했다. 서구 미술계의 주목 속에 중국 현대미술을 상징하는 ‘냉소적 리얼리즘’이다. 엄혹한 1990년대에 작가들은 자신의 아파트같은 사적 공간에서 작업하고, 전시를 열었다. 정부의 통제에 대한 작가들의 저항이자, 국제적 화제를 모은 ‘아파트먼트 운동(아트)’이다. 쑹둥은 이 운동의 주도 작가다. 2000년대 이후 중국 동시대미술은 다채로워진다. 정치·사회 현실에 민감하게 반응하며 정치적 팝아트, 냉소적 리얼리즘으로 그려낸 이전 작가들과 내용·형식면에서 차별화된다. 문화대혁명을 사실상 겪지 않은 신세대 작가들은 개인의 일상, 현대문명 비판, 디지털 아트 등 다양한 경향을 드러낸다. 통속적 대중문화를 다룬 키치 미술인 ‘염속미술’ 등도 등장했다. 류웨이는 차세대 중국 미술을 이끌 젊은 세대의 대표작가로 꼽힌다. 그는 후기산업사회의 감수성으로 동시대미술에 한 획을 그었다는 평가의 ‘포스트-센스 센서빌리티(Post-Sense Sensibility)’그룹 작가이기도 했다. 비엔날레 등으로 국제적 주목을 받는 그는 현대사회의 여러 문제가 압축된 도시를 주제로한 설치, 소가죽이나 디지털 드로잉 등을 활용한 작업으로도 잘 알려져 있다.

    상징적 작가

    주진스 작품주진스 작품
    주진스 작품

    1.주진스(朱金石·66)

    주금석은 1954년 베이징에서 태어나 중국 추상예술과 설치예술을 최초로 실천한 사람이다.80년대 초 추상회화 창작을 시작했다.1986년 베를린으로 이주한 뒤 행위·문자·장치 등 예술실험으로 옮겼다.1994년 이후 베를린 베이징을 오갔다.

    2010년 이후 생활 및 업무는 베이징에서 하고 있다. 지난 40여 년간 주금석의 예술적 관행을 돌이켜보면 추상회화와 관념설치예술은 서로 평행하고 대립하는 두 가지 연장선상이다.주금석의 창작은 추상회화로 시작되었고, 설치예술은 회화로부터 독립하여 회화에 새로운 형태를 부여하였다.둘을 연관지어 보아야만 주금석 작품 속의 충격적인 미학적 가치를 직관적으로 건드릴 수 있다. 모더니즘의 영향을 가장 먼저 받은 주금석의 회화 작품은 1979년 중국 최초의 전위전인 '별의 미전'에 출품됐다.중국에서 가장 먼저 추상예술을 시작한 예술가인 주금석은 처음에는 무작위적인 필획과 제한된 색상으로 추상화 작업을 시도했고, 점차 오늘날의 독특한 중색·두꺼운 그림 스타일을 발전시켰다. 그는 서구 90년대 이후의 구성주의, 신기하주의의 추상회화의 주류를 거스르고 지난 20여 년간 베이징 베를린을 오가며 예술간의 차이를 거시적으로 비교했는데, 비록 리히터(Gerhard Richter), 줄리안 슈나벨(Julian Schnabel), 페르 커크비(Per Kirkeby), 카주오 시라가(Kazuo Shiraga)의 80년대 강세 스타일은 그에게 깊은 인상을 남겼지만, 그가 2000년 이후 다시 그림으로 돌아올 때 알버트 오렌(Albert Oehlen), 세리쉬 등 자신의 예술에 더욱 관심을 기울였다.

    쑹둥 대표작 '버릴것 없는'
    쑹둥 대표작 '버릴것 없는'

    2.쑹둥(宋冬·54)

    어머니의 ‘추억’모아 세계 전시여행..중국 대표하는 개념미술가 쑹둥 쇼핑백, 세면도구,옷,책,그릇 어머니의 절절한 그리움을 표현. 2002년 베이징, 64세 주부 자오샹위안이 심장마비로 갑자기 남편을 잃었다. 이후, 그녀는 집에 틀어박힌 채 집 안을 잡동사니로 가득 채웠다. 제발 버리라는 아들에게 그녀는 말했다.

    “ 네 아버지의 빈자리를 견딜 수 없구나. 네겐 쓰레기지만, 내겐 추억이다.”

    예술가인 아들은 2005년 베이징의 한 갤러리에 어머니의 잡동사니를 ‘버릴 것 없는’이라는 제목으로 전시했다. 천창에 네온으로 이렇게 썼다. “아빠, 걱정마세요. 엄마랑 우리는 잘 지내요.” 그는 현재 중국에서 가장 주목받는 개념미술가 쑹둥이다. 지난해 베니스 베엔날레와 올해 카셀 다큐멘터에 중국 대표로 참여했다. “가장 창의적인 중국 현대 미술가 중 한 명”(뉴욕타임스)는 평을 했다. “어머니를 치유하기 위해 예술의 힘을 빌렸다. 어머니는 처음엔 ‘내가 이렇게 지저분한 걸 알면 사람들이 널 이상하게 볼꺼야’라며 반대했지만, 내가 ‘아니예요. 덕분에 제가 유면해질 꺼에요’ 하자 기꺼이 승낙했다. 쑹둥은 “부모란 자식이 잘된다면 뭐든지 한다” 며 빙긋이 웃었다. 어머니에게 단언했듯, 잡동사니는 그의 대표작이 됐다. 광주 비엔날레(2006.대상수상),뉴욕(MoMA),샌프란시스코 YBCA(2011), 런던 바비칸 센터(2012)등에 전시되며 전 셰계를 여행했다. 한 여인의 절절한 사부곡이자, 문화혁명 이후 중국인의 사고를 지배했던 ‘근검절약’의 집결체를 보여준다는 점이 대중과 평단을 모두 사로잡았다. 서정성과 내러티브, 중국 전통을 현대와 조화시키는 점도 쑹둥이 국제무대에서 높이 평가받는 비결. 공원에 모래와 흙,쓰레기를 산더미처럼 쌓고 씨앗을 뿌려 50여종의 식물이 자라나도록 한 카셀 다큐멘터 출품작 ‘아무것도 하지 않는 정원’은 중국 정원의 ‘차경’원리를 응용했다. 정원 밖 산이나 탑 등을 ‘빌려와’ 정원의 일부로 자연스레 수용한다는 개념이다. 삶이 곧 예술..어머니에게 배웠다. 쑹둥은 베이징 수도사범대에서 그림을 전공했지만, 1989년 천안문 사태 이후 퍼포먼스,미디어로 선회했다. 매섭게 추웠던 1996년 섣달 그믐날, 그는 천안문 광장에 엎드려 4여분간 바닥에 숨을 불어 넣었다. 입김이 포석에 살얼음이 되어 맺히자, 그는 자리를 떴다. 이 퍼포먼스이후 그는 명성을 얻었지만, 큰 돈을 벌지 못했다. 2008년 소더비 홍콩 경매에서 티베트 라싸 강물에 중국 관인을 찍는 퍼포먼스 사진이 약 1억9800만원에 팔린 경매 최고가다. 동시대 작가 쩡판즈, 장샤오강의 회화는 100억원대까지 치솟았다.

    “예술을 하는데 돈은 크게 중요하지 않다. 그림도 좋지만, ‘손으로 만질수 없는 이미지’에 치중하고 싶었다. 그래서 빛의 예술 미디어, 순간의 예술 퍼포먼스에 끌렸다.”

    그는

    “내 작품은 내 삶을 거울처럼 투영한다. 예술과 삶을 별개로 생각했기 때문에 사람들이 예술을 어렵다고 느끼는 거다. 부처님이 ‘모든 사람이 부처’라고 했듯, 나는 ‘모든 사람이 예술가’라고 여긴다”

    라고 했다. 그에게 ‘예술’을 깨우쳐준 어머니는 2009년 다친 새를 구하려고 나무에 오르다가 떨어져 세상을 떴다. 어머니 이야기를 하던 쑹둥이 갑자기 뒷통수를 보여주자 탈모로 숱이 듬성듬성했다. “어머니가 돌아가신 후 머리카락이 숭숭 빠졌다. 어머니에 대한 기억이 빠져나가면서, 내 머리카락을 가져가 버린게 아닌가 생각했다.” (블로그 크렌체에서 발췌)

    3.류웨이(Liu Wei 刘韡48)

    류웨이는 다양하고 시사하는 바가 많은 작품으로 유명한 중국 현대 미술가이다. 1972년 중국 베이징에서 태어난 Liu Wei는 회화, 조각, 설치 및 비디오 아트를 아우르는 예술에 대한 다학제적 접근 방식으로 국제적인 인정을 받았다. 그의 경력 전반에 걸쳐 Liu Wei는 도시화, 급속한 발전 및 현대 사회의 복잡성과 관련된 주제를 탐구했다. 그는 종종 중국 도시의 변화와 급속한 성장을 반영하여 도시 풍경에서 찾은 물건과 재료를 작품에 통합한다. Liu Wei의 초기 잘 알려진 작품 중 하나인 "Purple Air" 시리즈는 압도적인 도시 환경을 강조하는 단색 톤으로 광활하고 초현실적인 도시 풍경을 그렸다. 이 그림에서 그는 우뚝 솟은 건물, 다리, 무한히 뻗어 있는 인프라를 묘사했다. 그의 조각 설치에서 Liu Wei는 계속해서 사회와 개인 간의 관계를 탐구한다. 그는 고철, 건설 잔해, 버려진 물건과 같은 재료를 사용하여 기존의 관점에 도전하는 복잡하고 역동적인 구조를 만들었다. Liu Wei의 가장 잘 알려진 조각품 중 하나는 "Microworld"로, 거대한 풍경을 형성하기 위해 세심하게 배열된 수천 개의 실제 뼈로 구성된 거대한 설치물이다. 이 작품은 존재와 죽음의 본질에 의문을 제기하면서 현대 생활의 복잡성과 혼돈에 주목한다. Liu Wei의 작품은 베이징의 Ullens 현대 미술 센터, 시드니의 현대 미술관, 상하이의 Long Museum 등 전 세계 주요 예술 기관과 갤러리에서 광범위하게 전시되었다. 그의 생각을 자극하고 시각적으로 눈에 띄는 작품은 그를 중국의 주요 현대 예술가 중 한 명으로 만들었다.

    Liu Wei의 주목할만한 작품은 다음과 같다.

    1."Purple Air"(2007): 베이징의 급속한 도시 개발과 철거를 언급하는 분쇄되고 압축된 건설 잔해로 구성된 대규모 설치.

    Purple Air
    Purple Air

    2."Density"(2009): 책을 겹겹이 쌓은 설치 작품으로 현대 사회의 압도적인 정보와 지식의 양과 이를 헤쳐나가는 어려움을 암시한다. "Microworld"(2011): 도시 풍경과 유기적 형태를 혼합하여 초현실적이고 몽환적인 도시 풍경을 만드는 그림 시리즈.

    Density
    Density

    3.Microworld"(2011): 도시 풍경과 유기적 형태를 혼합하여 초현실적이고 몽환적인 도시 풍경을 만드는 그림 시리즈.

    Microworld"(2011)
    Microworld"(2011)

     

     


    포스팅 목차

    .............